테스트 환경은 테스트를 수행하는 환경인데, RQM에서는 이 환경과 테스트 케이스를 조합하여, 실제 실행가능한 테스트 레코드를 생성한다. 먼저 플랫폼의 범위에서, 우리가 테스트를 할 환경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 플랫폼의 범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실제 테스트 환경들을 만들 수 있다.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스위트 모두 섹션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액셀에서 관리는 하는데, 각 컬룸을 섹션이라 보면 된다.
이도 섹션관리를 통해 필요한 요소만을 둘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테스트 케이스에 테스트 스크립트를 링크하면 테스트 케이스가 완성된다.

아래는 만들어진 테스트 케이스의 예제를 보여준다.
RQM에서 테스트 케이스와 테스트 스크립트는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항상 그 이름을 플랫폼에 독립적인 이름이나 어떤 요소에 독립적인 이름으로 작성해주는 것이 좋다.

아래는 테스트 스크립트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하나의 테스트 스크립트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세부적인 스텝을 지정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예상 결과를 기록하면, 나중에 테스트를 수행할때, 이 스크립트를 보고 결과를 작성한다.

여기까지 RQM 리뷰 2부를 마치겠다. 이어 3부에서는 수동 스크립트 작성과 테스트 실행에 대해서 리뷰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