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요구사항
- Any Web Server
- PHP 5.3.0 혹은 이상
- 데이터베이스 :
- My SQL 5.0 이상
- PostgresSQL 8.2 이상
3. 설치
- http://www.thebuggenie.org/
4. 주요기능
4.1 시작

4.2 대시보드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게되면 그 프로젝트에 대하 대시보드를 보여준다. 이러한 대시보드는 사용자에 맞게 커스텀마이징할 수 있다. 약간의 아쉬운 점은 스크립트나 쿼리를 사용하여 대시보드를 꾸밀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는 정해진 범위내에서 정해진 용도로 대시보드를 꾸밀 수 있다.
4.3 릴리즈와 계획
버그지니는 릴리스와 계획(Planning) 기능을 제공한다. 릴리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으로 생각하면되고 계획은 마일스톤 단위로 관리되는 항목이라고 생각하면된다. 아래 그림은 계획의 마일스톤 M1에 해당되는 이슈 리스트를 보여준다.
4.4 통계
통계는 이슈를 상태, 카테고리, 우선순위, 타입 등 에 견주어 그래프 형태로 보여주는 기능이다. 다음 그림은 카테고리별로 이슈의 통계를 보여준다.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커스텀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우선순위별로 이슈의 수의 통계를 보여준다.
4.5 이슈
버그지니는 최초 태생이 이슈와 버그 트래킹 시스템인 만큼 이슈와 버그를 관리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Dashboard, Releases, 계획, 통계와 같은 기능들은 약간의 미완의 느낌이 들지만, Issues 메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이슈 리스트는 나름 사용자 관점에서 편리함을 제공해준다.

각 이슈는 선택 시,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위키 형식의 에디터에 코멘트를 달거나 항목을 각 수정할 수 있다.

5. 마무리
이 문서를 통해 버그지니의 짧은 리뷰를 수행해보았다. 여타 다른 프로젝트 도구에 비해 조금은 멋져보이는 UI를 가지고 있어, 한번 정도 리뷰를 수행해보고 싶었지만, 리뷰를 위해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적용해때는 레드마인이나 Jira에 비해 사용성 측면에서 부족함이 느껴졌다. 그리고 스크럼이나 칸반보드와 같은 추가적이거나 유용한 기능들이 커뮤니티 버전에는 제외되고 유료 버전에만 제공되는 것이 약간 아쉬웠다. 하지만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할것이라는 기대를 해보면서 이번 리뷰를 마치겠다.